사업연혁
- 홈
- > 분야별 정보
- > 드림스타트
- > 드림스타트 소개
- > 사업연혁
드림스타트 추진현황
-
2020
- 재원구조 변경(국고 100% ⇾ 서울 50%, 지방 80%)
-
2018
- 공공부문 사례관리 전달체계(7개 사업) 연계·협력 방안 마련 추진
- 실무자 1인당 담당 권장 사례관리 케이스 조정(60~80명 ⇾ 50~70명)
- 아동통합사례관리사 정규직(무기계약직) 추진
-
2017
- 취약계층 아동 수 및 수행인력규모 등 지역여건을 고려한 예산 차등 지원
- 드림스타트 사업 효과성 종단연구 완료(3년)
- 민간 전문인력 명칭 변경(아동통합서비스전문요원 ⇾ 아동통합사례관리사)
- 드림스타트 복지정보통계시스템 고도화
-
2016
- 통합사례관리 1:1 맞춤형 컨설팅 운영
- 사업운영 점검 대상기간 확대(1년 ⇾ 2년)
-
2015
- 사업지역 전국 확대 완료('14년 219개 ⇾ '15년 229개)
- 드림스타트 업무지원시스템과 홈페이지 통합 추진
- 통합사례관리 1:1 컨설팅 시범운영
-
2014
- 사업지역 확대('13년 211개 ⇾ '14년 219개)
-
드림스타트 운영 및 서비스 질 개선 추진
- 지역유형별 격년제 점검
- 드림스타트 간 멘토-멘티 지원체계 개선
-
사회보장정보시스템(행복e음)으로 드림스타트
사례관리 시스템 통합 - 추진협의회 권역별 개최
-
2013
- 사업지역 확대('12년 181개 ⇾ '13년 211개)
- 위기도 검사도구 개정
-
사회보장정보시스템(행복e음)과 드림스타트 통합정보시스템
(e-dreamstart) 통합 추진 ('14. 1. 2. 통합 운영) -
실시연수 2년 이상 지역 서비스 대상지역 전읍면동 확대
단계적 추진 - 사업체계개선 연구
-
2012
- 사업지역 확대('11년 131개 ⇾ '12년 181개)
- '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' 연계
- 아동복지기관협의체 구성 및 운영
- 드림스타트 사업지원단 (재)한국보육진흥원 위탁
-
2011
- 사업지역 확대('10년 101개 ⇾ '11년 131개)
- 위기도 검사도구 전 사업지역 적용
-
아동복지법에 드림스타트사업 근거 신설
('11.8.4., '12.8.5. 시행) -
「지역 내 아동통합지원체계 구축」 시범사업 실시
('11.8.~ '13.12.)
-
2010
- 사업지역 확대('09년 75개 ⇾ '10년 101개)
-
대상아동별, 서비스유형별, 지역유형별 특성화 추진
- 대상아동별 : 위기도 검사도구 도입, 신규사업지역에 적용
- 서비스유형별 : 기본ㆍ필수ㆍ선택 서비스로 분류, 아동발달영역별 서비스 체계 구축
- 지역유형별 : 대도시 자치구, 대도시 기초단체, 중소도시 기초단체, 농산어촌 기초단체로 분류
-
2009
- 사업지역 확대('08년 32개 ⇾ '09년 75개)
-
사업의 질적 고도화 추진
- 전담인력 교육 강화 및 사례관리 통합전산시스템 고도화, 홈페이지 개편
- 추진협의회 정기 개최, 멘토-멘티 체계 구축
- 드림스타트 사업운영 평가체계 마련
- 드림스타트 통합정보화시스템 구축
- 드림스타트 사업지원단 한국청소년상담원 위탁
- 추진협의회 권역별 개최
-
2008
- 사업 명을 '희망스타트'에서 '드림스타트' 로 변경
- 사업지역 확대('07년 16개 ⇾ '08년 32개)
- 국정핵심과제 선정 : 2012년까지 사업지역 전국 확대 추진
- 드림스타트 사업지원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위탁
-
2007
- 희망스타트 시범사업 실시 16개 시ㆍ군ㆍ구
-
2006
-
아동보호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시범사업 실시(20개 보건소)
- 학대, 방임 아동 증가 등 아동 복지 사각지대 해소
-
아동보호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시범사업 실시(20개 보건소)